레이블이 실리콘밸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실리콘밸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2월 4일 목요일

160203 CES 2016 인사이트 쉐어링 김영세 대표


(사진 출처 : 조선비즈)


25년간 CES를 개근했다. 특별히 금년 CES는 감회가 컸다. 

이번 CES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회사는 다쏘 시스템이다. 다쏘 시스템은 VR 3D experience라는 소프트웨어를 만들었다. 3D experience은 디자이너에겐 꿈같은 솔루션이다. 왜냐하면 이 프로그램으로 건물이든 물건이든 생산하기 전에 만들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예전엔 프로토 타입을 직접 만들었어야 했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었다. 이번에 다쏘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게 되면 만드는 비용을 줄일 것이다. 제품을 디자인하던, 건물을 디자인하던, 심지어 도시를 디자인하던간에 우리가 결과물을 미리 가볼 수 있다. 디자이너로서 정말 꿈같은 솔루션을 만났다고 할 수 있다. 

25년 제조업체에게 을로 살았는데 이제는 갑으로 살 것 같다. 

25년 전에는 일본 파나소닉, 소니, 도시바, 미국 제니스, GE 등이 메인 홀에 있었다. 한국 회사는 굉장히 작게 들어가 있었다. 
25년 전에는 우리나라 회사가 일본, 미국 업체를 베꼈다. 그런데 이제는 중국 가전업체가 한국 업체를 베끼는 현황. 그런데 김영세 대표의 견해는 다르다. 전반적인 상황으로 보면 이미 중국이 한국을 앞질렀다고 생각한다. 물론 전시장의 규모는 한국의 양대 전자회사 삼성과 LG가 CES 전체에서 가장 컸다. 하지만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CES Map. 사진 출처 : www.cesweb.org)

CES에는 Tech East, Tech West, Tech South 크게 세 부스가 있다. Tech East에는 가전제품 전통의 강자들이 전시를 했다. 그런데 김영세 대표 본인은 Tech East에 속한 샌즈 엑스포(Sands Expo)를 더 유심있게 봤다. IoT를 유심있게 보기 위해서였다. 드론,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카, 스마트폰, AR, VR 모두 IoT에 속했다. 트렌드가 5~6개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이 모든 트렌드가 IoT에 속해있다.

센서 기반으로 새롭게 변화하는 세상 - 이것이 IoT이다. 

CISCO사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IoT가 만드는 세계 시장의 규모가 2020년 전후로 해서 연 매출액은 1.9trillion dollor. 

IoT는 Big Picture이다. 사물인터넷은 센서 기반으로 세상을 새롭게 변화시킬 것이다.

과거 일류가 반드시 미래의 일류가 될 것이라고 장담할 수 없다. 
현재의 스타트업이 미래의 1~2년 뒤에 조단위 대형 기업이 될 수도 있다. 실제로도 그런 회사들이 실리콘밸리에 탄생했다. 

이전까지 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라고 불렀던 CES를 앞으로는 Creative Enterprise Show라고 불러야 할 것이다. 전세계에서 가장 경쟁적으로 창의적인 제품들을 선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나라 기업에겐 희소식이다. 우리나라 경제는 지금까지 대기업 중심으로 이끌어갔는데 변화의 조짐이 보인다. alternative solution이 보인다. 작은 회사가 효자 노릇을 할 시기가 왔다. 지금 이 시기는 세계의 모든 기업이 똑같이 출발선에 선 상태이다. 이제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이런 개념으로 볼 수 있다. 한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메가 트렌드의 변화를 중국사람들이 먼저 캐치한 것 같다.

우리나라의 서비스 비즈니스, 부품 산업, 완제품 산업 분야는 대기업 의존도가 너무 높다. 그래서 작은 기업들은 성공할 수 있다는 생각을 못한다. 그런데 '우리는 대기업에 게임이 안돼.' 같은 부정적인 생각은 한국적인 생각이다.

그에 비해 중국 기업인의 생각은 다르다. 큰 기업이든 작은 기업이든 똑같은 출발점에 서있다고 자신만만해 있다. 그런 마인드가 생긴 이유가 중국의 내수 규모가 커서 자신만만한지 아니면 다른 이유 있을 수도 있다. 중국 기업가들은 stay hungry, stay foolish하다. 자기보다 더 똑똑한 사람한테 무릎꿇고 기술을 알려달라고 요청한다. 중국은 행동이 빠르기 때문에 한국보다 앞서갔다. 

어쨌든 우리나라와 중국인들의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기업인들의 생각(mentality)과 자세(attitude)이다. 세계를 자신의 목표를 놓고 올인하고 도전하는 태도에서 부터 차이가 있다. TV 화소수와 밝기는 저물고 있는 이슈다. 물론 없어지지는 않겠지만 대세는 아니다. 

디자인적으로 TV에 대해서 생각하면... TV가 아예 없어질 수도 있다는게 최신적인(IoT적인) 생각이다. 건물 지을 때 화면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이런 정도의 앞서가는 생각 없이는 계속 뒷북만 칠 것이다. 생각의 변화가 없이는 저물어가는 이슈에 투자를 하는 실수를 범할 것이다. 

이런 걱정이 들어서 사람들의 의식 전환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만든 단어가 Big Design이다. 아직까지는 small design만 디자인이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상품의 마무리를 하는 것만 디자인이라고 여기니까 디자인의 역할을 상품의 조현적인 마사지 피니시 정도로만 생각한다. 그런데 CES에서 눈에 띄었던 회사들은 굉장히 빅 디자인적인 회사였다. Technology(세상에 없었는데 필요한 기술), needs(사람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아는 것)에 충실했던 회사이다. 그래서 세상에 없었는데 필요한 것, 알고 몰랐었는데 가능하게 만든 기술을 알고 두 가지를 합쳐서 히트 상품을 만들어냈다. 

Big design vs Small design

그래서 우리는 작은 디자인에 머물면 안된다. 예를 들면 애플도 디자인으로 회사를 키워냈다. 그래서 빅 디자인 시대를 열어가야 한다. 

오늘 이 자리에 온 청중들 또는 우리나라의 기술 베이스 창업자들은 기술에 대한 관심이 99% 디자인에 대한 관심은 1%이다. 하지만 현장은 그렇지 않다. 기술과 사용자를 합치는 생각이 빅디자인이다. 그래서 디자인은 사용자가 필요한 것을 찾는 첫번째 단계가 된다. 

그래서 우리는 수평적 디자인 에코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이제부터  Big Design을 중심에 놓고 세상을 다시 봐야 한다. 왜냐하면 2016년 1월 CES를 기점으로 세상이 확실하게 세상이 바뀔 것이라고 예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거기에 먼저 도달하는 사람이 이기고 1등을 하게 될 것이다.

지금 이 순간이 기업에겐 호재이다. 모든 세상이 바뀌고 사물이 바뀌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대기업, 중소기업, 창업 기업 모두에게 아직까지 없었던 기회가 왔고 앞으로도 올 것이다.

Big Design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프로세스
- design centric collaboration business model
- 줄 긋기이다. 
- 선, 줄을 이어가면 기회를 찾을 수 있다. 
- 가운데 '디자인'이라는 점을 찍고 그 주위에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많은 또 다른 점들을 찍는다. 이런 점 들에는 여러가지 기술 베이스들도 있고 생활에 대한 영역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줄을 그어보자. 그러면 아직까지는 생산되지 않은 상품이나 서비스가 탄생한다. 이렇게 해서 나온 것이 Airbnb, 우버같은 대박 비즈니스이다. 

디지털 시대, IoT 시대가 되었기 때문에 예전에는 없었던 것들이 수없이 탄생하는 시대가 되었다. 새로운 상품, 아이디어, 서비스 찾는 방법은 가지고 있는 점을 키우는 것이 아니라 점 주위에 생활에서 쓰이는 모든 단어들을 열거하면서 디자인을 중심에 놓고 줄 긋기해서 합쳐버려라. 그래서 디자인을 융합의 접착제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렇게 생각하는 것을 design thinking이다. 디자인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자는 의미

Big Design은 무엇인가?
- Big design is to know what to design.

우리가 아직까지 디자인이라고 생각했었던 것은 굉장히 작은 디자인이다. 이건 Small Design
= how to design

무엇을 만들까 생각하는 것이 빅 디자인이다. 
=think like designer, design thinking

Design thinking에 대한 정의가 아직까진 애매하다. 그런데 문득 think like designer라는 단어가 떠올랐다. 디자이너처럼 생각하는 것이 design thinking의 의미와 같다고 본다. 

- 사업자, 기술자들이 모두 디자이너가 되라는 것은 아니지만 디자이너처럼 생각하면(think like designer) 변화하는 시대에 기회를 잡을 수 있다. 

You've got to start with the customer experience and work backward to the technology.
- 스티브 잡스

이 말이 10년 전에 나왔고 덕분에 스마트폰이 나왔다. 상품기획을 기술에서부터 시작하지 말고 소비자의 경험에서부터 시작하라. 이게 바로 애플과 다른 회사와 차별화된 요인이다. 

지금은 IoT가 있기 때문에 이런 적용이 훨씬 더 쉬워졌다. 소비자의 입장에서 새로운 것을 창조하고 싶을 때 이것을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은 이미 나와있다. 이 기술들은 누구나 쓸 수 있다. 

Let designers design, then make engineers make the design. 애플 사내 프로세스, 모토
- 우리나라 대부분의 기업들은 거꾸로 하고 있다. 디자인은 제일 끝에 나온다. 그런데 이게 큰 문제이다. 디자인으로 시작하고 그 디자인을 생산해야 한다. IoT가 스티브 잡스의 이론, 전략이 옳았음을 증명하고 있다.

디자이너들의 생각과 방식을 우리가 좀 더 이해하고 적용한다면 새로운 기술, 상품을 성공시킬 수 있다. 
즉, 디자이너적인 생각이란 뜻은 unmet needs나 unwanted wish를 찾아내는 것이다. 세상에 없는 something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욕구가 충족되지 않은 그 무엇을 찾아내는 것이다. 기술은 이미 준비가 되어 있다. 그것을 찾아내기만 하면 된다.  

소비자의 마음과 가치관을 들여다 볼 것. 
- market share가 아닌 mind share를 점유해야 한다.



(사진 출처 : 조선비즈)


Q. 디자인 중심의 역량으로 기업 조직이 재편되어야 한다고 말한적이 있다. 예를 들면 테슬라, 애플도 그런 기조. 그런데 한국의 기업들이 디자인 중심으로 태도를 변화하고 있는지? 그 상황은 어떤지?

A. 상황이 만만치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황을 이겨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고정관념 때문에 그렇다. 
과거 한국경제를 뒷받침한 요인은 규모 경제였다. 대기업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앞으로 벌어질 미래 간의 괴리감이 있다.  
하지만 결국엔 기업이 디자인 중심으로 조직을 개편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디자인 중심 경영이 범국민적인 화두가 되었으면 좋겠다. 예전에도 디자인 중심 경영이 화두가 된 적이 있다. 하지만 디자인 중심 경영이 왜 중요한지에 대한 논의가 없었다. 그래서 small design과 big design의 차이가 중요한 이슈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IoT가 여는 새로운 세상 덕분에 젊은이들이 도전할 수 있는 컨피던스가 많이 생겼다. 이것은 작년과 올해의 차이점이다. 작은 기업들도 현장 예를 들면 라스베가스 CES에 출사표 던질 수 있다. 그리고 작은 기업들도 큰 시장에 도전할 수 있다는 모습이 보였다.

시장을 창조해야 한다. 있는 것을 만들다 보면 출발점도 늦고 투자도 늦게 된다. 시장이 만들어지기 전에 시장을 만드는 것이 빅디자인이다. 창업을 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이 세상에 무엇이 필요한지 연구할 것이다. 그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자체를 빅 디자인이라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는 김영세 대표 본인이 한국에서 이런 역할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그래서 플랫폼을 만들었다. 디자인을 일방적으로 컨설팅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창업하는 분들이 이노디자인의 플랫폼을 통해서 디자인을 지원받을 수 있게 만들 것이다. 

한 가지 더 추가한 것은 투자자와 이노비즈가 합병하여 공동으로 협업하고 있다. 창의적인 기술을 갖고 있는 기업을 이노디자인이 찾게 된다면 우리가 디자인도 도와주고 펀딩도 해서 실리콘밸리로 보내고 있다. 

시대적으로 볼 땐, 이젠 디자인 퍼스트 시대이다. 디자인이 먼저 나오고 나서 회사가 생길 수도 있다. technology는 표준화되어 있고 디지털이 세상의 모든 변화를 이끌어가고 있기 때문에 그 아이디어를 누가 가졌는가 이것 때문에 디자이너가 시작을 하던 창업자가 시작을 하던 엔지니어가 시작을 하던 간에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사람에게는 엄청난 보상을 받을 것이다. 이젠 작은 회사가 큰 회사 되는데 오래 걸리지 않는다. 그래서 start-up도 중요하지만 scale-up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어떤 회사도 작은 기업에서 머물러서는 안된다. 디자인과 세계 시장을 통해서 scale-up을 하면 좋은 회사들이 많이 생길 것이다. 

과거형에서 탈피해야 한다. 

2016년 1월 27일 수요일

[강연] 150923 유대인의 힘은 어디서 나오는가? (홍익희 교수) <조선비즈 북클럽>

조선비즈 북클럽 특강 (150923)



제목 : 유대인의 힘은 어디서 나오는가?
강사 : 홍익희 교수


Q. 유대인 이야기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A. 코트라 무역관으로 일할 때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근무했다. 보코타는 백두산 높이 정도에 위치함. 거기에도 유대인이 살고 있었다. 브라질 상파울루에는 보코타보다 유대인이 더 많다. 뉴욕은 유대인 판이다. 

세계 서비스 산업의 중심에는 항상 유대인이 있었다. 
고대서부터 중세, 근대 서비스 산업의 중심에는 항상 유대인이 있었다.

우리나라가 발전하려면 제조업 뿐만 아니라 서비스 산업을 발전 시켜야 한다. 제조업이 고용창출을 하기엔 이젠 한계가 왔다. 서비스 산업은 고용창출 효과가 높다.

독자들에게 서비스 산업의 중요성을 어필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사례가 필요함. 그래서 유대인 이야기를 적기 시작했다. 

현재는 서비스 산업에 관한 이야기를 집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서비스 산업에 대해서도...


Q. 작가는 500명이 읽을 책을 쓰는 사람, 5000명이 읽을 책을 쓰는 사람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두루두루 내용을 쓴 사람도 있다. 주석 단 것을 보면 신뢰도 문제를 문제제기할 수도 있다. 평소에 유대인 이야기를 쓰기 위해 어떤 준비를 했는가?

A. 책을 1권 쓰려면 관련된 책을 100권은 읽어야 한다. 그런데 이젠 달라졌다. 다작을 하는데 자료 정리나 데이터 관리는 어떻게 하냐는 질문도 받는다. 대충의 얼개를 엮을 수 있는 디테일 없이도 들이댈 수 있는... 목차를 쓰고 목차의 핵심을 쓸 수 있는 힘이 있어야 한다. 나머지는 구글이 디테일을 제공한다. 

얼개를 쓸 수 있는 힘은 독서량, 해당 분야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그래서 그 흐름을 볼 수 있어야 한다. 


현대에 각광을 받는 산업은 금융이다.
금융 산업의 가장 큰 변화는 헤지 펀드(Hedge Fund)의 약진이다. 한국에서 헤지펀드는 초창기 단계이지만 미국에서는 헤지펀드의 기세가 대단하다. 헤지펀드는 일반적인 금융산업 전체를 뛰어넘는데 이 헤지펀드의 맹위가 일반 금융을 압도하고 있다. 그런데 헤지펀드 관련 정보는 대중들에게 공개되지 않고 있다. 헤지펀드는 뮤츄얼 펀드(Mutual Fund)와는 차이가 있다. 

미국의 헤지펀드는 140개 정도인데 이들 중 상위 20%는 굉장한 수익을 내고 있다. 심지어 수수료로 수익의 40% 가져가기도 한다. 
2010년엔 미국 6대 금융 그룹의 수입보다 헤지펀드 10대 회사의 수입이 더 컸다.

존 폴슨(John Paulson)이 운영하는 Paulson & Co.의 경우 직원이 120명인데 56억 달러를 주주들에게 나눠줬다. 자기 수수료 40%를 제하고도 그 정도 돈이 나온다. 골드만삭스보다 수익률이 훨씬 좋다.

Fed의 발표에 따르면 미국 국민 90%는 소득이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이 사실은 자본주의에 심각한 도전을 가져다왔다. 중산층의 몰락... 우리나라도 이 불편한 사실에 자유롭지 못하다.

미국 대선의 관전 포인트.
미국 대통령 선거는 돈줄과 언론의 혜택을 받지 못하면 나갈 수 없다. 돈줄과 언론을 장악하는 세력은 유대인 세력이다. 대선 후보로 출마하기 위해서는 이스라엘 통곡의 벽에 가서 기도하는 사진을 찍어야 한다. 그리고 공약으로 친 이스라엘 정책을 내세운다. 이 단계에서 꼬이면 후원금도 없고, 언론 지원도 못 받는다.

부시가 2004년 선거할 때 4억달러 모금. 오바마는 8억달러 모금. 2012년엔 10억 달러. 돈이 많이 들어가는 이유는 TV 광고료 때문이다. 대선 후보팀은 50개 주 인구 구성비에 따라서 선거 프로그램과 공약에 대한 전략을 쓴다. 그래서 미국은 금권 정치라고 불린다.

그래서 미국에서 유대인들이 오만방자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더 주목할 것은 슈퍼리치들의 지원을 받지 못하면 대선을 나가지 못한다.
그런데 민주당의 샌더스는 이에 반기를 들고 있다. 돈의 노예가 되지 않겠다는 선언이다. 샌더스는 SNS를 통해 소액 모금 추진했다. 유대인에 대한 강한 도전이다. 샌더스는 미국의 소득 불평등을 꼬집었다. 기득세력에 대한 도전이기도 하다. 그런데 재밌는건 샌더스 이 사람도 유대인이다. 처음에 샌더스의 지지율은 1%도 안됐다. 그런데 점차 인지도를 높이더니 힐러리보다 앞서는 주도 생겻다. 지금(강의를 들을 당시) 샌더스의 지지율은 31%. 격차는 줄어들었다. 


본격적인 유대인에 대한 이야기


1. 창의성으로 만들어진 성공 사례


IT 산업에 실용성과 감성을 입히다. 
- 실리콘밸리를 움직이는 사람은 유대인. 이들이 뛰어난 천재라서 그런것이 아니다. 대중들이 필요로 하는 반박자의 것을 적시에 때려주는 것이 유대인이다. 

구글의 탄생
- 논문 인용계수를 알고리즘으로 구현하는 것. 본인의 필요에 의해 만들었다. 알고리즘은 세르게이 브린이 만듬. 

페이스북(facebook)의 탄생
- 2010년에 Like를 만들어내고 공유, 댓글을 통해 인간의 감성을 건드리는 커뮤니케이션. Facebook의 고용창출 효과는 굉장히 큰 편이다.

오라클. 컴퓨터의 컴자도 모르는 사람. CIA의 암호명이 오라클. 기업용 소프트웨어 시장이 무궁무진할 것이라는 예상을 했음. 엔지니어 2명을 데리고 나와서 1200달러로 창업을 했다. 이런 추진력과 통찰력. 세계 3위의 부자로 만듬.


Mark Zuckerberg는 남들에게 특별대우 받는 것을 원치 않는다. 이것은 그의 리더십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유대인은 정의와 평등이라는 율법 의식을 갖고 있다. 정의는 고아와 과부를 돌보는 것. 인간이라면 마땅히 감당해야 하는 것이 정의이다. 
히브리 단어에는 자선이라는 단어가 없다. 자선은 공동체 안에서 당연히 감당해야 할 일이기 때문이다.

유대인이라면 누구나 바구니에서 14끼 먹을 권리가 있다. 고대부터 생존권에서 해방되었다. 
공동체 생활은 일상이다. 디아스포라를 하더라도 공동체를 유지하고 있다. 유대인에게는 우리 모두 하나님의 형제라는 생각이 박혀있다. 

유대인 포로 1명과 팔레스타인 포로 1000명을 바꾼 적도 있다. 가치를 따지지 않는 것이 유대인의 율법이다. 7년 이내에 포로를 구해야 하는 이유는... 7년이나 포로를 고통스럽게 하지 말라는 이유 때문에.

희년에는 모든 것을 회복시켜야 한다.


영화산업은 유대인이 만들어냈다. 에디슨이 발명
에디슨 당시에는 뉴저지가 영화 제작의 메카였다. 유대인은 항상 유통구조를 독점했다. 영화도 마찬가지. 에디슨은 본인이 만든 기기로 영화로 만들어야 한다는 규정을 만듬. 그게 꼴보기 싫어서 많은 영화제작자들이 할리우드로 넘어갔다. 할리우드에서 만드는 영화는 대부분 유대인이 만들고 있다. 

매카시 퇴출(찰리 채플린도 미국에서 퇴출). 마르크스도 유대인.
예수님은 가장 유명한 유대인.

아바타는 30억 달러 매출. 소나타 300만대. 영화 산업은 부가가치가 큰 산업이다.

백화점

* 관광산업
- 풍광이 좋아야 관광산업을 할 수 있다는 미국인의 상식을 깨뜨린 것은 라스베가스.
- 유대인(벅시 시겔, 커크 코코리언, 셀던 아델슨)이 최신식 카지노 호텔을 만듬. 만든 사람이 죽고나서 장사가 잘되기 시작함.

마카오는 (스탠리 호, 셀던 아델슨), 싱가폴 (셀던 아델슨) 영종도

엘비스 프레슬리 빅쇼를 했는데 44만명이 몰려옴. 호텔을 팔고 더 큰 호텔을 지음.

셀던 아델슨 (Sheldon Gary Adelson)
- 전시회를 라스베가스로 유치함. 빅쇼도 보고 카지노도 하고 (님도 보고 뽕도 따고) 더 많은 관람객이 방문함. 번 돈으로 복합 리조트를 만듬. 
- MICE 산업으로 카지노 사업보다 더 많이 수익을 거둠.

세계에서 가장 돈 벌기 좋은 나라는 중국.
- 라스베가스 호텔과 똑같은 호텔을 마카오에 지음. 그리고 싱가폴. 마리나베이 호텔.
- 자기 세계에 마지막으로 노리는 곳은 영종도. 영종도의 위치는 마카오, 싱가폴보다 훨씬 좋다.

매년 유대인 총회(AIPAC)가 열린다. AIPAC에서는 그 해의 의정생활을 잘한 국회의원 순위를 매긴다. AIPAC는 선거후원금과 여론주도 세력이다. 의회 순례도 한다. 


일당백인 유대인
- 아이비리그 교수 중 유대인이 30%를 차지하고 있다
- 하버드 학생 중 40%가 유대인

백인들이 실제로는 유대인을 굉장히 얄미워한다. 그런데 소송을 해야 하면 유대인을 찾아간다. 그들이 실력이 있기 때문이다. 미국인은 아프면 유대인을 찾아간다. 


2. 그들의 창의성은 어디서 나오는가?


독서문화, 질문과 토론 문화, 융복함, 수평문화
- 는 현상적이다. 이런 현상을 만드는 본질은 배움을 신봉하는 유대교, 율법 정신(정의와 평등)

죄의 삯은 사망
- 희생제물을 드린다. 

1000개의 제물보다 하나의 배움을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선지자의 말씀.
- 배움이 기도와 똑같이 중요하다는 것. 
- 그들에게 배움은 신앙이고 목적이다. 지향점이다. 

어떤 수학자는 학술 관련 상금 100만 달러를 거부함. 배움 그 자체가 목적이라는... 자신의 학문 세계는 자신의 목적이지 명예의 수단이 아니다.

유대인 자녀교육의 핵심은 자녀의 달란트를 찾는 것이다. 성인식 전까지 자녀 교육을 한다. 혼신의 힘을 다하여서. 한국과 정반대. 평등 (하나님 밑에 있는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 특별대우를 거부하는 것은 평당사상에 기반한다. 직장의 계급은 일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수단이지 권력이 아니다. 부모와 자녀 관계도 마찬가지. 토론이 활발한 이유는 이런 평등 사상에 기반했다.

달란트(talent)를 찾는 방법. 
- 유대인 부모의 최대 관심사 : 자녀의 호기심은 무엇인가?
- 밥상머리 교육과 베갯머리 교육을 중요시 함. 남편이 밥상머리 교육과 베갯머리 교육을 담당. 침대에서는 항상 15분 이상 책을 읽어준다. 유대인 아이들이 1500단어를 인지할 때 보통 미국인 아이들은 800단어를 인지한다. 

- 아기를 목욕을 시키면서 엄마는 기도를 한다. 유대인이 유대교를 믿는 것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거의 쇄뇌 수준. 온전한 유대인으로 만들어내는 힘은 엄마에게 있다. 그래서 만약 유대인 혼혈일 경우 엄마가 유대인이면 유대인 사회에서는 그 사람을 무조건 유대인으로 인정함. 

기독교는 원죄 의식이 있다. 유대인들은 죄는 인정하지만 이것이 대대로 내려온다는 의식은 없다. 현재에 구속당하는 것은... 유대인에겐 무능력과 게으름이 죄악.
유대인은 현세 종교이다. 그들에겐 천국과 지옥의 개념이 없다. 

신명기 6장 4~9절

미국에서 자연스럽게 유대인 촌이 형성된 이유는... 안식일에 1km 이상 못 움직이니까...
안식일에 하는 건 책읽고 토론하기. 

한국인도 미국에서 천재 소리를 듣는데 한국인을 이기는 것이 유대인.
유대인은 다른 사람들보다 SAT 영어 과목에서 20점 더 받음. 독서와 토론 때문에...


3. 유대인의 힘의 원천은?

- 지난했던 유대인의 고난과 역사

이스라엘의 아이큐는 한국보다 낮다. 하지만 이건 팔레스타인 사람과 평균치를 매긴 것. 우리나라는 105, 유대인은 107
고생을 많이 한 민족은 생존경쟁을 위해 꾀를 많이 낸다. 그래서 고생, 고난은 민족의 아이큐를 진화시키는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감람나무는 15년이나 뿌리를 내리고 20년째 첫 열매를 낸다. 고난을 이겨냈을 때 좋은 결실을 맺게 된다. 포도나무도 마찬가지이다.

구릉지가 자갈과 모래가 많다. 물을 머금기가 힘들다. 그래서 포도나무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뿌리를 깊게 내야 한다. 황무지에서 뿌리를 깊게 내린 포도나무에서 좋은 포도열매가 열린다.

* 디아스포라
이교도 → 바빌론 유수기(히브리, 바빌론) → 헬레니즘 → 로마제국 (2/3 멸족) → 디아스포라 → 이슬람 → 중세(십자군) → 홀로코스트


Q & A


안티 유대, 유대가 반복되었다. 유대인이 기를 피고 다닌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북부 아프리카에서 교조주의가 발동한다. 원리주의, 근본주의를 뜻함. 그 후 유대인들이 학살당하고, 이슬람이 후퇴한다. 

기독교 교조주의는 십자군 전쟁 때 극에 달한다. 
유대인들이 많이 학살당한 이유는... 유대인을 죽이면 그 돈이 영주의 손에 들어온다. 그리고 평민들의 채무도 탕감된다. 그래서 유대인들이 러시아로 도망. 세파라디 유대인, 아슈케나 유대인

유대인이 팔레스타인을 핍박하는 이유도 교조주의 때문. 종교는 교조주의가 나타나면 문제가 생긴다.

공산주의도 유대인, 그래서 히틀러가 홀로코스트를 자행한 이유.

유대인에게는 도움에 대한 품격이 있다.
도움의 품격 중에 가장 하급은 마지못해 도와주는 것이다. 상급은 도움 받은 

유대인에게는 도와주는 것에도 순서가 있다. 
- 13살 미만 미성년, 부모, 13살 넘은 성인 자녀, 4촌까지,

유대인은 사촌이 땅을 사면 기뻐한다. 그 사람이 나를 도와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세번까지 무이자 대출을 한다. 요즘은 투자를 해준다. 실리콘밸리 마피아가 생긴 이유도 유대인의 공동체 의식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서비스 산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공감대가 부족하다.

유대인은 제조업을 한 적이 거의 없다. 역사적으로 유대인은 타의에 의해 쫓겨났기 때문에 제조업을 할 수 없었다. 이것은 유대인이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을 창출하는 민족으로 거듭나게 했다.

Q. 유대인은 샤일록 처럼 천대받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그런데도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원동력은?
A. 이자는 시간의 반대급부. 시간은 하나님께 속한건데 왜 이자를 받나? 
유대인 율법에 동족에게는 이자를 받지 못하지만 이방 민족에게는 이자를 받을 수 있다.

디아스포라. 유대인에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디아스포라는 유대인에게 큰 축복이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수입의 대부분은 환거래였다. 고대에 환거래를 할 수 있는 민족은 유대인 뿐이었다. 디아스포라 덕분에 정보공유를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현대 금융시장도 마찬가지이다.

유대인은 토요일 저녁에 정보를 취합해서 플랜을 짠다. 다른 금융업 종사자보다 하루 먼저 작전을 짠다. 비유대인 투자자는 유대인보다 하루 늦은 상태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절대 이길 수 없다. 

유대인은 정보를 통해 돈을 번다. 

워털루 전쟁의 승패는 로스차일드에게 먼저 정보가 입수되었다. 그리고 로스차일드는 영국의 주식과 채권을 팔기 시작한다. 다른 투자자들은 그래서 투매를 시작한다. 가격 폭락. 그리고 그날 영국 채권의 62%가 로스차일드 손에 들어가게 된다. 세계 금값도 로스차일드가 정했다. 

Q. 유대인의 자녀교육을 우리에게 적용할 순 없을까?

애들 어렸을 때 교육이 중요하다.